본문 바로가기

한달에 한번 쓰는 가계부

펀드에 대한 정보를 모아 놓은 곳을 소개합니다

반응형

적금의 다음 단계로 펀드를 가입하려고 할 때, 각 사 홈페이지에 가면 판매 위주의 정보만 나열된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펀드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모아놓은 곳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그곳은 디테일한 정보보다는 다양한 펀드를 모아놓아서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곳입니다.

 

펀드닥터

우선 펀드닥터 홈페이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https://www.funddoctor.co.kr/index.jsp#2

 

Fund Doctor - 펀드닥터

펀드 투자 정보 제공

www.funddoctor.co.kr

참고로 펀드라는 것은 어떻게 기준을 잡느냐에 따라서 평가 가치가 상당히 많이 바뀝니다.

심지어는 상투를 잡은 펀드라 하더라도 수익률 평가기간을 장기로 잡으면 최고의 펀드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혹은 단기로 수익률을 잡았을 때 평가가 과장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ETF 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펀드 닥터에 'FUND'에 마우스 오버를 하면 'ETF'가 보입니다. 그것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나옵니다

 가입하려고 하는 펀드나 관심 있는 펀드 이름을 알면 검색해 볼 수 있습니다.

 

ETF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펀드명을 자세히 모르신다면 조금 더 아래로 내리시면

이런 그림이 나옵니다.

우선 기준일자가 나옵니다. 하루하루 달라지는 게 펀드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ETF명, 기초지수, 종가, 순자산액, 등락률, 거래량 이 나옵니다.

 

ETF명 : 이름만 봐도 투자하는 지수나 성향이 보입니다.
기초지수 : 펀드를 운용하는 지수를 말합니다. 큰 범위와 같은 것입니다.
종가 : 오늘 지수가 마감되었을 때 펀드의 가격입니다
순자산액 : 자산액의 규모입니다. 자산액이 많을 수록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자산이거나 대중적인 펀드입니다
등락률 : 흔히말하는 수익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간으로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거래량 : 얼마나 사고 팔았는가를 알 수 있습니다. 많이 거래했다면 그만큼 그만큼 열심히 일한 것입니다.

 

개별 펀드마다 투자설명서

각 펀드 항목을 누르면 '투자설명서'가 있습니다.

로그인 절차를 거쳐서 투자설명서를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처음 펀드를 가입하시는 분들이라면 생소한 단어들의 향연이겠지만 그래도 반드시 공부를 하시고 투자하셔야 합니다.

복잡하고 어렵다고 해서 권유하는 사람의 말만 믿고 투자하시면 결국 결과는 본인이 져야 합니다.

다음에는 좀 더 구체적인 펀드의 내역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반응형